JPA 3 [Spring] JPA 영속성 컨텍스트 영속성 컨텍스트는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의미입니다. 엔티티 매니저로 엔티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면 엔티티 매니저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엔티티를 보관하고 관리합니다. em.persist(object); 이 코드를 단순히 엔티티를 저장한다고 표현했지만 정확히 이야기 하자면 persist()는 엔티티 매니저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영속성 컨텍스트트 엔티티 매니저를 생성할 때 하나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고 영속성 컨텍스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Entity Manager JPA가 제공하는 기능은 크게 엔티티와 테이블을 매핑하는 설계 부분과 매핑한 엔티티를 실제 사용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엔티티 매니저는 .. Domain/Spring 2021. 11. 18. [Spring] JPA (2) 왜 JPA를 사용해야 하는가? JPA는 자바 0RM 기술에 대한 API 표준 명세다. 쉽게 이야기해서 인터페이스를 모아둔 것입니다. 따라서 JPA를 사용하려면 JPA를 구현한 ORM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야 합니다. Hibernate, EclipseLink, DataNucleus이 있고 보통 Hibernate를 많이 사용합니다. JPA라는 표준 덕분에 특정 구현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고 다른 구현 기술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JPA 표준은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기능의 모음이다. 따라서 표준을 먼저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JPA 구현체가 제공하는 고유의 기능을 알아가면 됩니다. 1. 생산성 JPA를 사용하면 다음 코드처럼 자바 컬렉션에 객체를 저장하듯이 JPA에게 저장할 객체를.. Domain/Spring 2021. 9. 28. [Spring] JPA (1) 등장배경 자바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저장소로 사용하면서 SQL을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초기에 JDBC API를 직접 사용해서 개발하기도 했는데,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보다 SQL과 JDBC API 작성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마이바티스나 JdbcTemplate 같은 SQL Mapper를 사용하면서 JDBC API 관련 코드를 많이 줄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CRUD용 SQL은 반복해서 작성해야 했고, 이런 과정은 너무 지루하고 비생산적이었습니다. 객체 모델링을 세밀하게 진행할수록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조회하기는 점점 더 어려워졌고,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차이를 메우기 위해 더 많은 SQL을 작성해야하는 경우가 생겼습니.. Domain/Spring 2021. 9.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