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 2

[Spring] 의존성 주입의 방식 ( Autowired / Inject / Resource / Bean / DI / Constructor / Setter / Field / 순환참조 ) 스프링에서 DI를 적용하는 방식은 필드 주입 방식(Field Injection), 수정자 주입 방식(Setter Injection), 생성자 주입 방식(Constructor Injection)이 있습니다. 스프링 공식 문서에서는 생성자 주입 방식(Constructor Injection)과 수정자 주입 방식(Setter Injection)만 소개하고 있지만, 실제로 필드(Field) 방식도 가능합니다. 스프링에서는 필수적인 의존성에서는 생성자 주입 방식(Constructor Injection)을, 선택적인 의존성에서는 Setter Injection를 사용하라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입방식 사용방법을 예시로 나타내고 왜 생성자(Constructor) 주입 방식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 Domain/Spring 2021. 9. 10.
[Spring] 제어의 역전(IoC / Inversion of Control)과 의존성 주입(DI / Dependency Injection) 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과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은 스프링이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이자 스프링의 핵심 개발 원칙이기도 합니다.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이란 대표적으로 new 키워드를 통해 객체를 참조하거나, 다른 클래스 타입의 리턴값을 가지거나, 클래스의 상속, 인터페이스의 구현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의존성에 대한 제어권을 개발자 직접 만들게 됩니다.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의존성을 제공하는 기술을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이라고 합니다. class User { private Champion champion; User(Champion champion) { this.champion = .. Domain/Spring 2021. 7. 14.